공인중개사 합격을 위해서는 “자기객관화”와 “3:7”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매년 공인중개사 시험에 만 명이 합격한다고 하면, 만 개의 공부 방법이 생깁니다. 결과적으로 합격을 했으니, 만 개의 공부 방법, 모두, 단 하나도 버릴 것 없는 공부 방법입니다. 때문에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카페 등에 올라와 있는 합격수기는 빠르게 읽어볼 가치가 있습니다. 그 중 나와 맞는 방법이 있다면, 차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강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1년 내내 볼 강사님인데, 선택부터 잘못되면, 시간을 낭비하게 됩니다. 때문에 유명한 중개사 학원의 모든 샘플 강의는 필수적으로 보고 선택해야 합니다. 아니다 싶으면, 바로 손절하고 다른 강사의 강의로 옮겨야 합니다. 그거 아깝다고 생각하면, 시험 자체를 망치게 됩니다. 한 달 정도는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겪는 기간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한 달 정도의 시간을 두고 시행 착오를 겪으면서, 이 기간동안에는 세웠던 공부 스케줄이나, 공부 방법 등을 지속적으로 수정해 가면서, 나에게 맞는 공부 스타일을 만들어 가는 기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마음이 편합니다.
 
그러나, 합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남들이 어떻게 공부했냐도 아니고, 남들이 찍어주는 일타강사도 아닙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자기객관화”입니다.
그리고 “3:7” 전략을 지키는 것입니다. 

공인중개사-합격-전략

<공인중개사 합격을 위한 전제>


-공인중개사 합격을 위한 전제-


첫째. 자기객관화

카페에 이런 질문 참 많이 올라옵니다.
 
“언제부터 시작하면 될까요?”
“지금부터 시작해도 합격할 수 있을까요?”
 
언제부터 시작하면 되는지, 지금부터 시작해도 합격할 수 있는 지에 대해 내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들은 절대로 정답을 줄 수 없습니다. 또한, 우리가 정말 피해야 할 합격수기는 3개월만에 동차 합격했어요! 같은 단기간에 합격했다는 합격수기입니다.
거짓말이다. 말이 안된다.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언제나 우리의 삶에는 이런 평균을 벗어난 사례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러나 그런 사례는 많지 않습니다. 이런 평균을 벗어난 사례가 기준이 되면, 왜 나는 안되지?라는 자괴감만 생기게 됩니다.
표본에서도 평균에서 벗어나는 사례는 제외하는 것이 상식입니다. 그래서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평범한 우리는 3개월, 4개월, 5개월에 합격할 수 없습니다. 전업으로 공부해도 그 기간안에 합격하기 힘듭니다. 특히 직장인이라면 더더욱 힘듭니다.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합격입니다.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상관없이 합격만 하면 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 객관화없이 그저 빠른 시간안에 합격하기를 바라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기객관화가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저의 예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자기객관화는 나는 공부 머리가 좋다, 나는 공부 머리가 나쁘다 라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공부 머리가 있는 사람은 공부 머리가 없는 사람보다 빨리 합격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최종적인 목표는 합격이지, 빨리 합격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공부 머리가 있는 사람에게도, 공부 머리가 없는 사람에게도 똑같이 주어지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하루는 24시간이라는 절대적인 진리입니다.
 
자기객관화는 바로 이 시간을 내가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느냐에서 출발합니다.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저는 하루에 내가 공부에 쓸 수 있는 시간은 객관적으로 어느정도인지 최대한 냉정하게 살펴봤습니다.
 
이 글을 쓰는 저는 매우 평범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저는 직장인입니다. 그래서 야근을 할 때도 있고, 주말에 가족행사 또는 경조사 등이 빈번합니다. 퇴근을 하고, 아이랑 좀 놀다가 아이를 재운 다음부터 공부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하루에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21시부터 다음날 새벽 01시까지였고, 화장실 가는 시간, 중간에 멍때리는 시간 등을 빼면, 하루 순공부시간은 3시간이 최대라고 설정했습니다. 주중, 주말 가릴 것 없이 하루 3시간이 최대라고 설정했습니다. 주말에 막 8시간씩 공부해야겠다는 계획은 개인적으로 비현실적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객관적으로 꾸준히 지킬 수 있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의욕적으로 주말에 8시간 공부하겠다고 했다가 한 두번 못하게 되면, 전체적인 계획이 흐트러질 수 있습니다. 충분히 실행 가능하고, 달성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되, 계획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공부하는 것은 스케줄러에 별도로 표시하여, 스스로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루에 공부를 3시간 할 수 있다는 계산이 서게 되면, 그 때 비로소, 내가 합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공부기간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 수강과목과 수강시간을 통한 수험기간 산정

하루에 순공부시간을 3시간 확보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왔습니다. 그래서 각 과목별 개설 강의와 강의 시간을 엑셀로 정리해봤습니다.

민법-강의시간
부동산학개론-강의시간
중개사법-강의시간
부동산공법-강의시간
부동산공시법-강의시간
부동산세법-강의시간

입문강의는 들어보니, 기본강의로 커버가 될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입문강의는 수강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지난 강의들을 살펴보니, 기본강의+개념완성 강의는 필수였지만, 핵심강의는 필수가 아닌 선택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강의는 기본 강의 + 개념완성 강의만 수강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배수는 2배속으로는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 1.5배속으로 수강했습니다. 그럼, 이제 제가 강의를 수강해야 하는 시간과 기간이 객관적으로 산출됩니다.

수간시간-수강기간

1차와 2차 모든 과목의 기본강의와 개념완성강의를 전부 듣는데 필요한 시간은 215시간이고, 이 시간을 하루에 3시간씩 공부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완강까지 필요한 일수를 계산해 보니 72일로 산정되었습니다. 단순히 강의만 전부 수강하는데 두달하고도 보름 정도가 필요한 시간입니다. 두번째 원칙인 “3:7″을 적용해서 제게 필요한 수험기간을 산정해 보면, 총 240일(약 8개월)이 필요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여기에 공부를 시작하면서 반드시 겪게되는 일종의 방황의 시간(학원과 강사 선정, 공부방법, 전략 수정 등을 위한 시간), 약 한 달을 더해주면, 제가 합격까지 필요한 전체 수험기간은 타이트하게 9개월이라는 계산이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중간중간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것을 고려하여, 보수적으로 합격까지 10개월이라는 기간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이제 10개월의 수험기간을 산정하는데 적용한 “3:7” 전략에 대해서 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둘째. 3:7 지키기

3:7 전략은 간단합니다. 강의를 듣는 시간이 3이면,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7이라는 전략입니다.

강의를 듣는 시간(3) :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7) 

우리가 정말 매우 쉽게 빠지게 되는 유혹이 있습니다. 수험기간동안 강사들의 강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입니다. 입문, 기초, 기본, 개념완성, 핵심정리, 기타 특강 등등.. 강의만 듣다가 시험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어릴 때부터 늘 듣었던 말. “공부는 혼자하는 것”이라는 진리는 언제나 유효합니다.

완강까지 필요한 기간이 72일이고, 이 강의를 듣는 비율을 “3”이라고 하면, 스스로 공부하는 비율 “7”에 해당하는 기간은 168일이 됩니다. 그래서 총 240일(약 8개월)이라는 기간이 산정된 것이고, 이에 시행착오를 겪는 기간 한 달, 그리고 보수적으로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는 기간 한 달을 더해서 저에게 필요한 수험기간은 총 10개월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물론 이렇게 10개월 동안 공부를 하고도 불합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우리가 콘트롤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고 그 안에서 수험기간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가야지, 끌려가게되면, 불합격의 확률은 주도적으로 했을 때와 비교하면 매우 높아지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2024년 시험부터는 이 비율을 2:8로 조정을 해야할 수도 있겠습니다. 절대평가를 유지하는 대신 난이도를 높여 합격생을 조절하겠다는 방향성을 보면, 이제는 더더욱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을 늘려야 하는 것이 합격을 위해 안전한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튼, 죽어도 3:7의 비율 이상은 지켜야 합니다.


우리의 최종 목표는 합격입니다.

합격만 하면 됩니다. 평균 60점으로 합격하든, 85점으로 합격하든, 합격만 하면 무차별합니다.

빨리 합격하면 좋겠지만, 빨리 합격하지 않아도 됩니다. 각자의 상황에서 각자의 스케줄대로 공부해서, 합격만 하면 됩니다. 그게 중요합니다.

자기객관화를 통해, 계획만 잘 세운다면, 100%합격할 수 있다고는 절대로 말할 수 없지만, 그래도 합격에 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 모두 합격하실 겁니다. 


혹시, 감정평가사 시험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제가 블로그를 통해 각 과목별로 정리하고 있으니, 한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감정평가실무의 하이라이트, 수익환원법 풀이 예시 보러가기.

감정평가이론 작성 예시 보러가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