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평가실무: 입목 평가

입목 평가야 말로 불의타 논점이다. 공부를 하다보면, 식도 뭔가 좀 복잡하고, 구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가 있어 문제내기 좋겠다라고 생각이 드는 논점이 꽤 있는데, 입목 평가야 말로 딱 그런 논점이다. 성장단계별로 입목 평가 방식을 다르게 적용해야 하고, 계산식도 약간씩 달라서 문제를 풀다보면, 재밌다. 그러나, 재미있는 딱 그 정도에서 그쳐야 한다. 입목 평가의 방법과 각 방법의 개념, 그리고 계산식 정도만 익히자. (근데, 이 정도면 다 하는거 아닌가?…) 아무튼, 한번 정도 정리해 두고, 시험 전날 이거 저거 다하고, 화장실에 갈 때, 읽어보면 끝이다. 이런 논점에 너무 많은 시간을 잡아먹지 말자. 그러려면 감칙을 읽어야 한다.


입목평가

<INDEX>


▶ 입목 평가 방

원가방식원가법
비용가법
비교방식매매가법
시장가역산법
수익방식수익환원법
기망가법
원가수익절충법글라저법

▶ 성장단계 분류

유령림원가법(비용가법)
중령림글라저법
장령림기망가법
성숙림시장가역산법

▶ 입목 평가 방법

조림비용가법입목이 기준시점까지 성장하기 위하여 투하된 육성비를 합계하여 입목의 가치를 평가
글라저법조림비용과 벌기령에 달한 주벌수익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전임령에 대해 적정하게 분배하는 방법
기망가법현재의 입목이 장차 벌채될 때까지 기대할 수 있는 순수익에 기초하여 입목을 평가
시장가역산법시장의 원목 또는 제대목의 가격에서 벌채비용 등 생산비용과 이윤을 공제하여 입목을 평가

▶ 예시

거래사례수집 불가 / 잣나무 표준벌기령: 40년 / 섹터당 2ha 임지가치: 10,000,000원/ha / 이자율 및 할인율: 연 5%
관리비: 2,000,000원/년 / 조림비: 9,000,000(초년도)

<#01>

임령: 10년 / 간벌수입: 2,000,000원/ha (임령 5년)

1. 감정평가방법 선정 및 이유

임령 10년의 유령림으로서 거래자료, 수익자료 수집이 곤란하여 원가자료 기준 비용가법 선정.

2. 시장가치

1) 비용 후가 합

(10,000,000 × 2 + 2,000,000 / 1.05) × (1.0510 – 1) + 9,000,000 × 1.0510 = 52,394,000

2) 수익 후가 합

2,000,000 × 2 × 1.055 = 5,105,000

3) 시장가치: 1) – 2) = 47,289,000

<#02>

임령: 20년 / 주벌수입: 100,000,000원/ha

1. 감정평가방법 선정 및 이유

임령 20년의 중령림은 적산가액과 수익, 비준가액과의 편차가 크므로 이의 절충이 필요함. 따라서 비용, 수익설을 절충한 글라저법을 선정함.

2. 시장가치

1) 초년도 생산비용

10,000,000 × 2 × 0.05 + 2,000,000 + 9,000,000 = 12,000,000

2) 시장가치

(100,000,000 × 2 – 12,000,000) × [202 ÷ 402] + 12,000,000 = 59,000,000

<#03>

임령: 30년 / 간벌수입: 8,000,000원/ha(임령 35년 예상)

주벌수입: 100,000,000원/ha

1. 감정평가방법 선정 및 이유

임령 30년의 장령림은 수익자료 구득이 용이하여 이를 기준. 따라서 수익성에 기초를 둔 기망가법 선정.

2. 시장가치

1) 수익 후가 합

100,000,000 × 2 + 8,000,000 × 2 × 1.055 = 220,421,000

2) 비용 후가 합

(10,000,000 × 2 + 2,000,000 / 1.05) × (1.0510 – 1) = 37,734,000

3) 시장가치

(220,421,000 – 37,734,000) ÷ 1.0510 = 112,154,000

<#04>

임령: 40년 / 조재율: 80% / 원목시장가: 7,000,000원/㎡

입목재적: 100㎡/ha / 자본회수기간: 12개월

기업자이윤 및 투자위험률: 연 8% / 생산비: 5,000,000원/㎡

1. 감정평가방법 선정 및 이유

임령 40년의 성숙림은 가까운 시일 내 판매가능한 상태로서, 원목시장가를 기준으로 판매를 상정하여 평가함. 따라서 시장가역산법을 선정함.

2. 시장가치

0.8 × [(7,000,000 × 100 × 2) ÷ (1 + 12/12 × 0.05 + 0.08) – 5,000,000 × 100 × 2] = 191,150,000

Leave a Comment